top of page

Archive

Exhibition Views

A view into where the work touches the world.
This archive traces the public unfolding of ZAIN’s painting and performance—across exhibitions, live rituals, and site-responsive practices.

세상과 접촉한 장면들.
이 섹션은 ZAIN의 회화와 퍼포먼스가 외부 공간과 공명한 순간들, 전시와 의례, 장소 기반 작업의 흐름을 기록합니다.

20230318_122711.jpg
20230318_122711.jpg

2023

From the Profound explored how the East Asian concept of black (玄, hyeon) becomes a site of resonance, transformation, and lineage across generations. Featuring calligraphy, ceramics, and abstract painting by Kim Choong-hyun, Kim Syyoung, and ZAIN, the exhibition traced black not as absence, but as a prism of presence. Here, black revealed itself as a field of infinite color—where memory, matter, and form converge.

2023년 《현으로부터》 전시는 동양 철학에서의 ‘검은색(玄)’을 감각과 사유의 축으로 삼아, 세대와 매체를 넘는 예술적 공명을 펼쳐냈습니다. (고)김충현의 서예, 김시영의 흑자 구조색, 자인의 반추상 회화가 한 공간에서 ‘형태 너머의 색’을 공유하며 교차했습니다. 검은색은 이 전시에서 단순한 색이 아니라, 존재의 깊이와 감응의 흔적을 담는 공명의 장이었습니다.

(s) 20240906_160325.jpg

2024

ZAIN participated in the major exhibition 《Wave of Connection – Nakseonjae》 at Changdeokgung Palace, presenting three large-scale paintings within the historic quarters of King Heonjong. Her Field Vibration Paintings responded to the emotional and architectural resonance of the site, forming a sensorial bridge between contemporary abstraction and Korean heritage. Exhibiting alongside Korean master artisans and internationally recognized artists, ZAIN’s presence underscored her role in shaping a transhistorical and transmaterial dialogue within Korean contemporary art.

2024년 창덕궁 낙선재에서 열린 《낙선재 – 이음의 결》은 전통 장인과 동시대 작가들이 함께한 대규모 단체전으로, 공간의 역사성과 예술의 현재를 연결한 전시였습니다. 자인은 헌종의 안채라는 메인 공간에 대형 회화를 설치하며, 자신의 장소 기반 회화가 전통 공간과 감응하는 중요한 사례를 제시했습니다. 공간의 결과 진동이 만나 형성된 회화적 감응은, 동시대 한국미술에서 자인의 독자적 위상을 드러냅니다.

bottom of page